출처 Ridwan Meah / unsplash.com
출처 Ridwan Meah / unsplash.com

다른 나라는 설날에 뭐해요?

음력 1월 1일, 설날입니다.

우리나라는 온 가족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떡국을 먹고, 새해 덕담을 주고받고, 세배를 한 뒤 세뱃돈을 받죠. 🙇‍♀️🙇‍♂️💸

재밌게도 음력 설을 챙기는 나라는 우리나라,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의 일부 국가뿐입니다. 그런데 나라마다 풍습도, 먹는 음식도 조금씩 다르다고 해요.

설날 특집으로 준비한 오늘의 포스트! 다른 나라는 설날에 무엇을 하고, 어떤 음식을 먹는지 트리플이 착-착 알려드릴게요.

1년 중 가장 큰 행사
중국
・ 중국에서 설날은 춘절(春節) ・ 2020년 1월 24일 ~ 1월 30일
중국에서 음력 1월 1일은 민족 대이동이 일어나는, 1년 중 가장 큰 명절입니다. 전날인 음력 12월 31일부터 온 대륙이 축제 분위기에 빠져들죠. 이때만큼은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맛있는 식사를 하고, 서로의 행복을 빌어줍니다.
중국의 설날 풍습 🇨🇳
‣ 세뱃돈 주고받기
이때 중요한 건 '빨간 봉투'에 넣어서 주기! 중국에서 빨간색은 액운을 막아주고, 돈을 부르는 상징이에요. 흰 봉투는 악인, 불운을 상징하기 때문에 절대 금지입니다.
‣ 폭죽 터뜨리기
중국의 설날 풍습 중 하나는 폭죽 터뜨리기! 폭죽을 터뜨릴 때 나는 소리가 귀신을 쫓는다고 믿기 때문이에요. 단, 미세 먼지 문제가 떠오르며 상하이, 베이징 등의 대도시에서는 자제하는 움직임도 있다고 하네요.
중국에서 설날에 먹는 음식 🍲
‣ 쟈오즈 (만두, 교자)
우리나라가 떡국을 먹는다면 중국은 만두를 먹습니다. 쟈오즈의 쟈(饺)와 '바뀐다'는 의미의 교(交)의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이래요. 만두 속에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 맛도, 의미도 달라집니다.
‣ 생선 요리
중국의 새해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요리가 바로 생선요리입니다. 중국어로 생선을 뜻하는 위(鱼)와 풍족함, 복, 여유 등을 뜻하는 위(餘)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에요.
중국의 설날이 궁금하다면 ✈️
  • 베이징
    바로가기
  • 상하이
    바로가기
  • 칭다오
    바로가기
중국만큼 긴 휴일
대만
・ 대만에서 설날은 춘절(春節) ・ 2020년 1월 23일 ~ 1월 29일
대만과 중국의 설날은 여러모로 닮았습니다. 이름도 똑같고, 도시 전체가 빨간색으로 물들고, 풍습도 유사하고, 먹는 요리도 비슷하죠. 하나 다른 점이 있다면 23일부터 연휴라는 점이에요!
대만의 설날 풍습 🇹🇼
‣ 세뱃돈 주고받기
대만에서도 붉은 봉투에 담은 세뱃돈을 줍니다. 재밌는 건 보통 짝수의 지폐를 준비한다는 겁니다. 짝수는 행운을 가져오는 숫자거든요. (4 제외) 흰 봉투에 주면 악인, 불운을 상징하기 때문에 절대 금지! 잊지 마세요.
‣ 전날 모여 밥 먹기
설 전날인 음력 12월 31일(추시)에는 온 가족이 모여 저녁 식사를 합니다. 꽤 중요한 문화이기 때문에 이날 많은 상점이 일찍 문을 닫습니다.
대만에서 설날에 먹는 음식 🍲
‣ 닭 요리
새해 상차림에 꼭 등장하는 메뉴, 바로 닭 요리입니다. 닭을 의미하는 ‘찌’(雞) 글자와 대만어의 '집'(家)의 발음이 같기 때문이에요.
‣ 생선 요리
대만의 새해 상차림에도 생선 요리는 필수입니다. 중국과 같죠. 특이한 점은 생선을 다 먹으면 안 된다는 거예요. 생선을 뜻하는 위(魚)의 발음과 '남다'는 의미의 위(餘)의 발음이 같아서, 조금 남겨야 올해도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하네요.
대만의 설날이 궁금하다면 ✈️
  • 타이베이
    바로가기
  • 가오슝
    바로가기
공식 연휴만 일주일!
베트남
・ 베트남에서 설날은 똇 응웬단(Tết Nguyên Đán) ・ 2020년 1월 23일 ~ 1월 29일
베트남의 설날은 공식 연휴가 무려 일주일입니다. 회사에 따라 2주에서 한 달 정도까지 긴 휴가를 떠난대요. 이때는 많은 상점이 문을 닫으니, 혹시 여행을 떠날 예정이라면 보다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베트남의 설날 풍습 🇻🇳
‣ 차례 지내기 & 향 피우기
베트남은 한국과 비슷하게 차례상을 올립니다. 특이하게도 3일 내내 지낸다고 해요. 그리고 차례를 지내는 동안 현관 앞에 향을 피우는데, 조상님이 우리와 함께 있다고 믿기 때문이래요.
‣ 세뱃돈 주고받기
차례를 지내면 모여 앉아 새해 덕담과 함께 세뱃돈을 주고받습니다. 마찬가지로 화려한 붉은 봉투에 넣어서 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성인이라면 부모님께 드리기도 합니다.
‣ 노란 색, 붉은색 꽃으로 장식하기
새해가 되면 집안 곳곳을 꽃으로 장식합니다. 남부 지방은 풍요와 희망을 뜻하는 노란 색의 매화꽃을, 북부 지방은 행운을 상징하는 붉은색의 복숭아꽃을 들여오죠.
베트남에서 설날에 먹는 음식 🍲
‣ 반쫑 / 반자이 (떡)
녹두와 찹쌀을 섞어 만든 설날 대표 음식. 우리나라 떡과 비슷한 생김새예요. 속 재료로 돼지고기를 쓰기도 합니다. 지역에 따라 모양은 차이가 있지만, 맛은 거의 비슷합니다.
‣ 쏘이 걱 (찹쌀밥)
설날 혹은 중요한 행사가 있는 날에만 먹는 음식입니다. 쉽게 말하면 빨간 찹쌀밥이에요. '걱'이라는 열매의 빨간 씨앗을 넣고 만듭니다. 베트남에서 붉은색은 행운을 가져다주는 색이니까요!
‣ 루옥 가 뗏 (닭고기 요리)
명절의 메인 메뉴라고 할 수 있는 닭고기 요리입니다. 우리나라의 닭백숙 같달까요? 차례상에 올라가는 음식이며, 차례가 끝나면 책상에 둘러앉아 맛있게 먹습니다.
베트남의 설날이 궁금하다면 ✈️
  • 다낭
    바로가기
  • 호치민
    바로가기
  • 하노이
    바로가기
  • 나트랑
    바로가기
  • 푸꾸옥
    바로가기
중국의 영향을 받은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에서 설날은 Chinese new year's day ・ 2020년 1월 25일 ~ 27일
다양한 민족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말레이시아. 그중에서도 중국계가 많기 때문에 음력 1월 1일이 되면 3일을 쉽니다. 중국과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 말레이시아의 설날, 과연 어떤 모습일까요?
말레이시아의 설날 풍습 🇲🇾
‣ 홍등 장식하기
중국과 마찬가지로 빨간색은 불운을 쫓고, 행운을 불러오는 상징적인 색입니다. 대문 앞에 붉은 전등과 꽃장식을 달아 올 한 해도 무탈하기를 기원합니다.
‣ 세뱃돈, 선물 주고받기
말레이시아에서도 붉은 봉투에 담은 세뱃돈을 주고받습니다. 뿐만 아니라 행운을 의미하는 파인애플로 만든 과자나 음식을 선물하는 문화가 있다고 합니다.
말레이시아에서 설날에 먹는 음식 🍲
‣ 어 생 (생선 샐러드)
생선과 함께 얇게 썰어 절인 야채를 섞어 만든 생선 샐러드. 테이블 가운데에 두고 모두 함께 일어나 섞은 뒤, 샐러드를 집어 위아래로 들었다 놓는 행동을 반복합니다. 이때 소원을 말하면 이루어진대요!
‣ 귤, 조롱박
우리에게 익숙한 과일인 귤. 금을 연상케 한다는 이유로 설날 때 자주 먹는다고 해요. 조롱박은 길한 숫자인 '8'과 비슷하게 생겨 장식품으로 애용합니다.
말레이시아의 설날이 궁금하다면 ✈️
  • 쿠알라룸푸르
    바로가기
  • 코타키나발루
    바로가기
나머지 정보를 더 보고 싶다면,
트리플 로그인하고 무료로 확인하세요.
지금 보고 있는 콘텐츠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