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국 전 체크 사항

리뷰 6
저장 301
출처 shutterstock.com
출처 shutterstock.com
설레는 해외여행의 시작, 급한 마음에 짐을 꾸렸다가 정작 중요한 것들을 놓칠 수 있다. 현지에 도착해 당황하기 전에 미리 확인하면 좋은 체크리스트.
여행 전 필수 체크 항목!
1. 여권 유효기간이 예정 체류 기간보다 길게 남아 있는지 확인하기 (6개월 이상 권장) 2. 항공권의 출국, 귀국 일정 등은 다시 한번 체크하기 3. 예산에 맞게 환전하기 4.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여행자 보험 들어 두기 5. 필리핀 이트래블 작성하기
해외여행 준비물 체크 리스트
이트래블(eTravel) 작성하기
필리핀의 입국 수속 온라인 서비스, 이트래블. 나이, 국적, 성별에 상관없이 누구나 작성해야 하며, 항공기 탑승 시간 기준으로 72시간 전부터 이트래블 웹사이트에서 작성할 수 있다. 원활하고 빠른 입국 수속을 위해 출국 전에 준비해 두는 것을 권장한다.
예방접종 맞아두기
필리핀은 고온다습한 지역이라 말라리아, 홍역 등 조심해야 할 전염병들이 많다. 해외여행 질병 정보 센터에서 출국 전 예방접종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아보자.
필리핀 감염병 종류
홍역, 뎅기열, 지카바이러스, 장티푸스 등
E-티켓, 바우처, 여권 사본 등 출력하기
공항에서 출국할 때는 여권만으로도 체크인이 되지만, 입국 시에 리턴 티켓이 확인되지 않으면 종종 입국이 거절될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출력하자. 여행 중 여권을 잃어버렸을 때를 대비하여 여권 사본과 여권 사진 2매는 반드시 챙기는 것이 좋다.
호텔 바우처 챙기기
보라카이 섬으로 들어가려면 숙박을 예약한 호텔 바우처가 필수. 선착장에서 티켓을 구매할 때 예약한 호텔이나 리조트 내역을 확인한다. 바우처가 없으면 보라카이 내로 들어가는 것이 불가능하니 꼭 챙겨가자.
알아두면 좋아요!
여권, 항공권, 호텔 바우처에 기재되어 있는 영문 이름이 똑같아야 한다.
유심카드 또는 포켓와이파이
스마트한 여행자에게 와이파이는 필수! 한국에서 통신사별로 제공하는 데이터 상품이나 와이파이 도시락은 예약한 뒤 공항에서 수령 받을 수도 있다. 두 명 이상이 여행한다면 포켓와이파이를 추천! 현지에서 유심카드를 구매할 경우, 선불 요금제를 선택하면 된다.
환전하기
한국의 주거래 은행이나 공항 은행에서 우대 환율을 받아 달러화로 환전해 간 후 보라카이에서 페소로 재환전하는 것이 좋다. 달러는 100달러 신권으로 바꾸어 가자. 필리핀에서 100달러 신권의 환율이 제일 높다.
알아두면 좋아요!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도착 첫날 필요한 교통비 정도(한화 2-3만원)는 인천공항에서 페소로 환전하여 가는 것이 좋다. 또한 보라카이에서는 큰 금액을 지불했을 때 잔돈이 없다며 주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니, 미리 적은 금액의 페소를 챙겨 다닐 것.
여행자 보험
여행 중에는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무사히 다녀오면 좋겠지만 혹시나 일어날 사고, 분실을 대비해 여행자 보험을 들어두자. 보험사에 미리 연락하거나 홈페이지를 통해 가입할 수도 있고, 출국 당일 공항에 있는 여행자 보험 부스에서 신청할 수도 있다.
멀티 어댑터
한국과 동일하게 220V, 60Hz를 사용하는 곳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110V나, 11자 형태의 돼지코 플러그를 쓰는 곳도 있다. 멀티 어댑터는 하나쯤 챙기는 것을 추천한다.
보라카이 여행을 위한 준비물
1) 모자, 선크림, 선글라스, 우산 또는 양산 2) 수영복, 아쿠아슈즈, 긴 팔 래시가드, 기타 물놀이 도구 (물총류는 반입 안 됨) 3) 벌레 퇴치제, 모기 패치 4) 여름 옷, 샌들, 얇은 긴 팔 겉옷 (실내 냉방, 모기 대비) 5) 마스크나 손수건은 필수! 공사 중인 곳이 많고 매연이 심해 트라이시클 이용 시 필요. 6) 소화제, 지사제, 진통제 등 상비약
알아두면 좋아요!
현지 한인마트에서 타이레놀, 게보린, 후시딘 등 간단한 한국의 상비약을 구매할 수 있다.
보라카이 여행 시 챙기면 안 되는 것
필리핀 면세 한도를 넘는 면세품
필리핀은 입국 시 면세 한도가 1만 페소로 한화 약 24만 원밖에 되지 않는다. 필리핀의 세관 검사는 엄격하기로 유명하기 때문에 포장지를 뜯거나 영수증을 버리는 수법이 통하지 않는다. 세관원에게 적발 시 압수당하거나 더 큰 벌금을 낼 수 있으니 한도에 맞게 면세품을 사거나 세관 신고를 하는 것이 좋다. 세관 신고 시 면세품의 금액을 증명 가능한 영수증 지참은 필수다.
알아두면 좋아요!
· 값이 나가 보이거나 상자로 포장된 새 제품은 면세품으로 의심받을 수 있으니 조심하자. 한국에서 착용했던 인증사진을 준비하면 좋다. · 할인을 받은 경우 할인받기 전 금액을 기준으로 면세 한도를 계산하는 경우도 있으니 참고하자. · 면세 한도를 넘을 경우, 초과한 금액에 대한 세금이 아닌 구입한 물품의 전체 금액이 과세 가격으로 산정된다.
육류 및 식품
현재 아프리카돼지열병 예방을 위해 육류와 육가공품(햄, 소시지, 통조림, 베이컨, 라면 등) 등의 반입을 철저히 금지하고 있다. 입국 시 적발되면 물품을 압수당하니 주의하자. 사전에 허가받지 않은 농수산물의 반입 역시 제한된다.
수하물 규정 확인하기
무게 확인하기
항공사에 따라 수하물로 부칠 수 있는 짐의 무게가 정해져 있다. 보통 20kg을 넘지 않도록 유의한다.
기내 반입 가능 물품과 위탁 수하물 규정은?
기내 가방이냐 위탁 수하물이냐에 따라 반입이 불가한 물품들이 있다. 인화성 물질은 당연히 기내도 위탁도 반입이 불가하다. 액체류의 경우 100mL 초과 시 위탁 수하물로 보내야 하며, 휴대폰 보조 배터리의 경우 기내 가방에 들고 타야 한다. 자신이 해당하는 항공사 사이트에서 수하물 규정을 체크하고 짐을 싸도록 하자.
일반적으로 기내로 가져갈 수 없는 물품
· 기내로 가져갈 수 있는 규격(세 변의 합 115cm, 10kg 이내)을 초과하는 물품 · 기타 타인에게 위해를 입힐 수 있는 물품 (칼, 공구류, 스포츠용품 등) · 100mL 초과 용기에 담긴 액체, 젤류 · 날카롭거나 뾰족하거나 긴 봉 형의 물품
일반적으로 위탁 수하물로 부칠 수 없는 물품
· 현금, 보석이나 귀금속, 유가증권, 계약서, 논문과 같은 서류, 여권, 신분증, 열쇠, 견본(샘플), 골동품 등 가치를 따지기 어려운 귀중한 물건 ·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 카메라 등 고가의 개인 전자제품 또는 데이터 저장 장치 · 파손 혹은 부패하기 쉬운 물품 · 하드케이스에 넣지 않은 소형 악기류 · 기내 또는 여행 중에 사용될 의약품
리뷰
6
일정 알아서 다 짜드려요
트리플 맞춤 일정 추천 받으러 가기
사진/동영상
최근여행